- 2021년 제1회 선정 4개 과제에서 SCI 학술지∙국제학술대회 발표 등 가시적 성과 이어져
- 당뇨병 전주기에 대한 국내 연구진 의과학 연구 활성화 통해 환자 건강에 기여할 것
한국아스트라제네카-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제3회 ‘KHIDI-AZ 당뇨병 연구지원 프로그램’ 포스터
당뇨병의 예방, 치료, 관리, 합병증 조절에 이르기까지 당뇨병에 대한 임상과 기초연구가 가능한 국내 연구자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선정 기관에는 최대 6천만 원 이내의 연구비와 글로벌 아스트라제네카 R&D 조직·파트너 연구자와의 네트워킹 기회가 제공된다. 본 연구지원 프로그램의 공모는 11월 1일부터 11월 27일까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링크)에서 정보 확인 후, 이메일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21년에 발족한 ‘KHIDI-AZ 당뇨병 연구지원 프로그램’은 당뇨병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의과학 역량 향상과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당뇨병 및 내분비 대사질환 환자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기획됐다. 2021년 발족 후 2년간 총 7개의 연구과제가 선정된 가운데, 연구가 종료된 4개의 과제에서는 △SCI 논문 게재,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국제 학술대회 및 아시아 당뇨병 연구연맹 학술대회 강연 발표, △대한당뇨병학회지 논문 게재 등 가시적인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김상표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표이사 사장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토대로 국내 과학자 및 연구자와 과학적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환자들의 더 나은 일상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당뇨병뿐만 아니라 항암제 등 연구 영역을 넓혀가고자 하며, 의미 있는 결과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2021년부터 시작된 ‘KHIDI-AZ 당뇨병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 연구부터 진료 환경에 적용 가능한 연구까지 포괄적으로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R&D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 지난 당뇨병 분야 연구지원 과제 공모에서 선정된 과제들이 해외 유수학회 발표, 임상 연구 진입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제3회 당뇨병 분야 연구지원 과제 공모에서도 우수한 연구 역량을 가진 국내 연구진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당뇨병을 비롯해 국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질환 치료와 관리에 도움이 되는 연구 성과들을 지속 발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당뇨병에 대한 연구지원 프로그램 외에도 2022년 기준 국내 사망원인 1위로 꼽히는 암 연구 지원을 위해 ‘KHIDI-AZ 항암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9년째 매년 4건의 항암연구 분야 기초 연구 과제를 지원 중이며,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국내에서의 이러한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및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 노력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인증받았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1980년 아스트라가 합작회사 형태로 국내 제약시장에 진출한 이래, 1992년과 1997년에 각각 한국아스트라와 한국제네카가 설립됐고, 이후 1998년에 아스트라와 제네카 본사가 합병되면서 1999년 아스트라제네카의 한국 법인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공식 출범했다. 현재 전국 400여 명의 임직원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벤처, 의과대학 등과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의학 연구와 제약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편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암 환자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꿈을 지원하는 사회 공헌 ‘희망샘’ 프로젝트를 2005년부터 올해로 19년째 운영해 오고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www.astrazenec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과학 중심의 글로벌 바이오 제약기업으로 암, 희귀질환, 심혈관, 신장 및 대사질환, 호흡기 질환 등 치료 영역을 중심으로, 전문 의약품의 발견과 개발, 그리고 상용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00여개국 이상에 진출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의약품을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www.astrazeneca.co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 보도자료. 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Available at:<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218&act=view&list_no=427216&tag=&nPage=1&ref_bid=203,204,205,206,207,210,211,11109,11113,11814,213,215,214,11860,11695,216,218,219,220,10820,11815,11895,11816,208,245,222,223,225,226,227,228,229,230,11321,232,233,234,12029,10920,11469,11470,11817,236,237,11471,238,240,241,11865,243,244,11893,11898,12031,11825,246> Accessed on October 25,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