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브케어 (Solve.Care), 국내 파트너십 확장을 위한 BRI Korea파트너
십 체결
지난 19일 헬스케어 기술회사인 솔브케어와 블록체인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리아(Blockchain Research Institute Korea, BRI Korea)는 국내에 더 나은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체인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활용한 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BRI Korea는 캐나다 본사의 블록체인 리서치 인스티튜드(Blockchain Research Institute, BRI)의 한국 지사로, BRI Korea는 한국 기업, 정부, 사회에 블록체인 기술의 전략적 소재 등을 제공하는 연구에 중점을 두며, 보스아고라와 제휴된 대표 연구기관이다.
솔브케어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가 국내 플랫폼 사용자들,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관심 분야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솔브케어 코리아 사장 이언 박사는 "솔브케어는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전세계적으로 의료 경험을 개선하는 임무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파트너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며 “현재 인하대학교와 협력하여 진행 중에 있는 ‘2023 인천시 블록체인 대학’에서 Care.Labs 101 교육 과정을 확장하여 BRI Korea와 더 큰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며 향후 BRI Korea와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김인환 보스아고라 재단 이사장겸 BRI 코리아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매일 블록체인(Everyday Blockchain)을 목표로 하는 보스아고라에게 의료 분야로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BRI Korea의 누적된 연구 데이터와 인프라는 솔브케어의 국내 의료 생태계 확장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 연구소(BRI)의 공동 창립자이자 이사회 의장인 돈 탭스콧 (Don Tapscott) 보스아고라 프로젝트 고문도 이번 솔브케어 협약에 환영의사를 보이며 “의료 분야에서의 블록체인의 실제 사용 사례는 수십억의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데 이 기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우리에게 보여 줄 것이며, 이번 파트너십이 이러한 중요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라 전했다.
솔브케어 소개
솔브케어는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지불을 간소화하고, 전 세계 의료 분야에서 사기와 낭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료 관계 관리 플랫폼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플랫폼은 의료 상태, 경제적, 사회적 필요, 기타 맞춤형 자격 기준에 따라 환자 중심의 치료를 위한 탈중앙화된 디지털 의료 네트워크인 케어네트웍스를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생성 및 배포하여 전체 의료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가치 기반 의료비 지불을 위해 디지털 통화와 블록체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배포한 세계 최초의 기업이기도 합니다. 솔브케어는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다음과 같은 찬사를 받았습니다: 2022 웹3 및 블록체인 트랜스포메이션 어워드의 '엔터프라이즈 트랜스포메이션 어워드', 2022 이노테크 어워드의 '올해의 기업 웰니스 소프트웨어', BRI의 '2020 올해의 산업 솔루션', SSOW 임팩트 어워드의 '2020 올해의 기술' 등을 수상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s://solve.care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RI Korea 개요
BRI Korea는 보사고라와 BRI가 설립한 독립적인 한국 싱크탱크입니다. BRI Korea는 국내 최고의 업계 리더, 학자, 정책 입안자, 기업가, 연구자들이 모여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블록체인의 기술적 기능과 실제 시장 수요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BRI Korea는 회원사들에게 블록체인의 기회, 도전 과제, 구현 장애물, 그리고 기술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공합니다.
보스아고라 소개
국내 최초의 ICO 프로젝트로 알려진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보스아고라는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자체 메인넷인 '아고라'를 출시했습니다. 보사고라의 생태계는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고라' 네트워크와 키오스크의 통합을 통해 웹3.0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K2E(Kiosk to Earn)가 탄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