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남인순 의원, ‘복막투석 활성화 방안 마련’에 공감 박형천 이사장 등 임원진, 지난 2월 24일 남인순 의원실에서 간담회 열어 지속 가능한 건강보험 및 재택의료 시대에 맞는 말기콩팥병 관리 방안 제안 남인순 의원 “토론회 통해 활성화 방안 찾아야…지속적으로 개선 위해 노력” 대한신장학회가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간담회를 갖고 재택의료 시대 말기콩팥병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복막투석 활성화 방안 마련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대한신장학회 박형천 이사장(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과 이정표 총무이사(서울의대 보라매병원), 이동형 KHP 2033 특별이사(범일연세내과)는 지난 2월 24일 남인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실을 방문, 남 의원을 비롯해 김봉겸 보좌관과 간담회를 가졌다. 대한신장학회 박형천 이사장(사진 왼쪽)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복막투석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오는 3월 7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개최되는 ‘말기콩팥병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복막투석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 앞서 국내 말기콩팥병 환자들의 치료환경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날 대한신장학회 박형천 이사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고령화와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의 증가로 말기콩팥병 증가율이 세계 1위”라며 “특히 만성콩팥병 환자들의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말기콩팥병으로 넘어가는데 5년, 10년, 15년 등 투병 생활을 하게 되면 경제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질환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이중고를 겪게 된다”고 지적했다. 박 이사장은 “현재 말기콩팥병 환자는 10만명 정도로 10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늘었고 총진료비는 2021년 기준 2조1,647억원으로, 환자수는 전체 인구에 비하면 굉장히 작지만 건강보험 재정 7~8% 가량을 쓰고 있는 실정”이라며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금 막지 못하면 10년 후에는 4조~5조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신장학회 임원진과 남인순 의원, 김봉겸 보좌관이 3월 7일 ‘말기콩팥병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 앞서 간담회를 갖고 이야기 나누고 있다. 이에 박 이사장은 의료비 급증 문제의 심각성과 의료 자원 고갈의 위험성을 고려할 때 경제적 효율성과 환자의 삶의 질과 예후 개선을 동시에 고려한 신대체요법은 재택의료의 한 축인 복막투석이라고 강조했다. 박 이사장은 “복막투석은 최근 혈액투석 대비 초기사망위험도가 낮고, 신이식 후 치료결과가 더 양호하여 환자의 의료적 예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유지할 수 있어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박 이사장은 현재의 복막투석 환경은 손해를 보면서 해야 하는 구조라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복막투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행위수가를 신설하고 의료기관들이 복막투석 교육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는 한편, 환자와 보호자를 전문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전담 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복막투석 우선 정책을 펴거나 복막투석 활성화를 위해 환자와 의료진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대만, 홍콩, 일본 등 해외 여러 나라의 투석 정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특히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투석비용이 급격히 증가하자 '미국 국민 신장 건강 증진 이니셔티브(Advancing American Kidney Health Initiative)'를 통해 의료비는 절감하고 치료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복막투석 확대 정책을 단행했으며, 복막투석 수가를 획기적으로 인상했다고 했다. 정부가 지난 201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복막투석 환자 재택관리 시범사업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최근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질환군별 재택의료 시범사업 효과분석 연구’에 따르면 복막투석이 혈액투석 대비 사망률, 생존율 등 의학적 지표를 개선하고, 의료비용은 감소시켰으며, 생산성 손실비용 및 교통비 등의 비용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만족도도 높아 복막투석 환자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 이에 남인순 의원은 “치료효과가 좋고 건강보험 재정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오는 7일 열리는 정책토론회에서 복막투석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자”고 했다. 남인순 의원은 또 “토론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진행상황을 점검해 복막투석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직선제 대한산부인과개원의사회 제4대 회장 김재유 후보 당선 직선제 대한산부인과개원의사회 제4대 회장으로 김재유 모아산부인과의원 원장이 당선되었습니다. 직선제 대한산부인과개원의사회 선거관리위원회는 2025년 1월 14일 제4대 회장 선거를 공고하였으며, 2025년 1월 22일(수)부터 1월 24일(금)까지 3일간 후보 등록 절차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김재유 후보자가 단독 후보로 등록되었음을 공식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후, 2025년 1월 25일(토)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관리규정안 제7절 제40조 3항에 따라 김재유 후보자의 무투표 당선을 확정·공고하였으며, 2025년 2월 21일(금) 당선증 수여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당선을 통해 김재유 회장은 향후 3년간 산부인과 개원의사들의 권익 보호와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의사회 운영을 이끌어 나갈 예정입니다.
소아청소년 전문의와 함께 소아감염병 상시 대응 시스템 구축 제안소아청소년병원협회, '올해는 소아감염병 타파의 해'로 삼자 정부에 촉구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최용재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15일 대한병원협회 14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코로나 19 펜데믹 이후 독감, 백일해, 마이코플라스마, RSV 등 각종 소아 감염병의 창궐이 멈추지 않고 있어이들을 치료하고 있는 소아청소년병원의 의료진은 매우 힘겨운 진료를 하고있다"며 "올해는 소아감염병의 창궐을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소아감염병 상시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제안했다. 최용재 회장은 “지난해에는 절대 있어서는 안될 백일해로 인해 사망하는 아동이 발생했는데 정부 당국은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대책 마련이 필요한데도여전히 무대책이 대책인냥 2025년을 맞이했다"고 지적하고 “올해의 소아의료체계는 지난해 발발한 소청과 전공의 사직과 지속된 전공의 기피 현상으로 더욱 심각해져 소아의료현장은 감염병 창궐과 맞물려 아비규환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가 회원 병원 대표원장을 대상으로 9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한 올 소아감염병 증가 추이에 관한 설문 조사에서도 이같은 우려는여실히 드러났다. 올해 각종 소아감염병이 어떠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 43명의 대표원장 중 38명인 85%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음은 물론 이중 46%는 지난해보다 그 증가폭이 20% 이상이 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또 올해 가장 유행할 것으로 보이는 소아감염병으로는 메타뉴모바이러스질환으로 설문 참여자 43명 중 13명인 30%가 답했다. 다음으로는 독감이라고 답한 경우가 43명 중 6명(13%), 마이코플라즈마 43명 중 5명(12%), 아데노바이러스 43명 중 4명(9%)였다. 이 설문조사는 소아의료 최전방에서 소아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며 소아청소년병원을 책임지고 있는 소아청소년병원 대표원장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 최용재 회장은 "소아청소년병원 대표 원장들은 병원 진료의 원활함을 위해 질병 통계 등 각종 지표들을 수시로 분석하며 진료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증가폭이 큰 소아감염병 질환과 심각한 소아의료 붕괴로 이를 더욱 세밀하게 관찰하고 있다”고 전하고 “이같이 소아청소년병원대표원장들이 소아감염병 증가를 크게 우려하고 올해에도 소아감염병 대폭 증가가 예상된다고 답한 부분은 정부 당국이 심각하게 받아들여 더이상 우리 아이들이 소아감염병으로부터 고통을 받지 않도록 신년초부터 고삐를 세게 당기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따라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올해 중점 회무를 소아감염병 타파로정했다"고 전하고 “정부 당국도 이와 맥을 같이해 소아감염병 증가폭 둔화를목표로 머리를 맞대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최 회장은 “정부도 몇년째 지속되는 소아감염병 증가에 대해 땜질식 대책보다는 올해는 대한민국의 미래, 아동들이 창궐하는 소아감염병에 속절없이 습격을당하며 고통속에서 나날을 보내지 않도록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머리를 맞대는 일을 주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 주기를 환아 보호자의 마음으로 강력히 제안한다"고 거듭 전했다. 최 회장은 “작금의 사황은 사후 약방문 대신 proactive한 전향적 대응이 절실하다"고 재차 강조하고 "지방 무엇보다 강원도, 충남 등의 위중증 환자들의 전원은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우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어 최 회장은 "복지부에서 처음으로 소아청소년과 환자들만을 위해 시작한네트워크 시범사업은 붕괴된 의료전달 체계속에서 아이들에게 단비와 같은 소중한 제도로 확대와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위중증 소아 환자 발생시 이송할 의료기관이 없어 곤란했는데 어렵게 구축된네트워크 시범사업의 진료전달 체계가 제 역할과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확장할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합병증 및 위중증 발현을 막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발열클리닉에 대해서는 지원 기간 연장과 함께 발열 클리닉 홍보의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이갑열 교수, 대한면역학회 제43대 회장 취임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이갑열 교수가 2025년 제43대 대한면역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이갑열 교수는 취임사에서 “대한면역학회의 미션인 ‘면역학 연구를 통해 감염과 면역질환의 극복에 기여한다’를 충실히 이행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면역학회’, ‘기초와 임상의 융합연구’, ‘미래를 이끌 연구자 육성’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회원들 간의 교류와 유대는 학회 활동의 핵심이므로 이를 위해 산하 연구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정보 교환과 공동 연구를 촉진하고,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면역학은 단일 학문을 넘어 생명과학과 의학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면역학의 저변을 넓히고, 신진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대한면역학회는 1974년 창립돼 2024년 50주년을 맞이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면역학 학회로, 현재 500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학회는 매년 춘계 국내학술대회와 추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며, 학회의 공식 저널인 SCIE 등재 국제학술지 Immune Network를 발행하는 등 꾸준히 성장해 왔다. 2025년에는 주요 학술 행사가 예정돼 있다. 오는 2월 21일(금),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리는 ‘선천면역세포 연구방법의 실제와 응용’에 대한 동계 연수강좌를 시작으로 4월 10일(목)부터 11일(금)까지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800여 명의 국내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춘계 국내학술대회가 열린다. 또한 10월 30일(목)부터 11월 1일(토)까지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는 국제학술대회 ‘KAI International Meeting 2025’에는 1800여 명의 국내외 연구자들이 참석해 활발한 학술 교류가 기대된다. 대한면역학회 소개 1974년 7월 창립한 대한면역학회(KAI)는 기초 및 임상 면역학 분야의 학술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과학기술의 진흥과 인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5000여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SCIE 등재 국제 학술지 ‘Immune Network’ (2023 IF 4.3)를 발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kaimm.org
2025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KSH) INTERNATIONAL CONFERENCE & 66 ANNUAL MEETING혈액학 발전과 국제 교류의 장, 서울서 열려 대한혈액학회,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ICKSH 2025 개최□ 대한혈액학회는 2025년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간 서울 그랜드 워커힐에서 '2025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ICKSH 2025)'를 개최한다. 이 대회는 혈액학 분야의 최신 연구와발전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학문적 교류를 나누고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ICKSH는 지난 2018 년부터 대한혈액학회의 주관 하에 국제적 위상을 가진 대회로 발전했다.이를 통해 매년 저명한 국내외 전문가들을 초청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교육하며 새로운세대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번 대회에도 34 개국에서 약 1,090 명이참석하였으며,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다양한 세션과 프로그램을 마련해 참가자들에게 풍부한학습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 이번 대회에서는 총 102 개의 초청 강의와 267 편의 구연 및 포스터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혈액학 분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유방암 생존율 개선과 사회경제적 손실 최소화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4일(월), 환자단체·학회·정부·언론 등 함께 유방암 정밀의료 제도 개선 방안 논의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최승란 회장,“환자들의 생존 위한 NGS 검사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좌절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 간곡히 요청”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회장 최승란)가 지난 24일 국회의원회관 제10 간담회실에서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 주최, 대한암학회,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유방암분과와 공동 주관으로 ‘여성 암 발생 1위 유방암, 생존율 개선과 사회경제적 손실 최소화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유방암 생존율 개선과 사회경제적 손실 최소화를 위해 정밀의료 핵심 도구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검사 활성화와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은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기술로, 유방암 정밀의료 및 맞춤형 치료 실현을 위한 필수 검사로 평가받고 있다. NGS 검사는 2017년부터
건국대병원, 최신 심방세동 치료기술 ‘펄스장 절제술’ 부정맥 치료 세계권위자, 美 미탈 박사와 공동 시술 진행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권창희 교수팀이 부정맥 치료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Dr. Suneet Mittal과 함께 국내 최초로 ‘펄스장 절제술’을 선보였다((중앙)권창희 교수와 Dr. Suneet Mittal 박사) 건국대병원이 최신 심방세동 치료법인 ‘펄스장 절제술(Pulsed Field Ablation, PFA)’의 첫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시술은 3월 21일 건국대병원에서 열린 ‘Advanced Pulsed Field Ablation Workshop’에서 시행됐으며, 부정맥 치료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Dr. Suneet Mittal과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권창희 교수가 함께 집도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펄스장 절제술은 기존의 고주파(RF) 절제술이나 냉각풍선도자절제술(Cryoballoon ablation)에 비해 시술 시간은 짧고, 주변 조직 손상의 위험이 적어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실제로 건국대병원에서 진행된 첫 번째 시술은 약 1시간 만에 마무리됐으며, 환자는 다음 날 퇴원할 정도로 빠른 회복을 보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 안전한 보툴리눔 톡신 사용 문화 조성을 위한 기자간담회 개최 ᄋ 분야별 전문가, 국내 보툴리눔 톡신 규제 강화 필요성과 국내 사용 실태,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제언 등 공유 ᄋ 국내 다빈도, 고용량 보툴리눔 톡신 시술 경향…효과 감소 경험자 74%, 숨은 내성 환자 관리 공백 우려 ᄋ 환자-의료진 간 정보 간극, 환자는 톡신 제품별 ‘내성 안전성’ 및 ‘품질 차이’ 정보 안내 받길 원해 ᄋ 면역원성 발생 시 향후 질환 치료에도 사용 제한… 의료진의 충분한 정보 제공과 시술 이력 기반 상담 필요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위원장 문옥륜)는 12월 6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안전한 보툴리눔 톡신 사용 문화 조성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 문화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안전한 사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보툴리눔 톡신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대중화된 미용 시술로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용으로도 사용되는 의약품인 만큼 안전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글로벌 사례를 바탕으로 본 국내 보툴리눔 톡신 규제 및 관리 방향성’ 주제로 발제를
용인시의사회, 자문변호사 위촉 늘어난 회원의 법률적 접근에 전문성 높여 용인시의사회는 2023년 9월 2일 신태섭 변호사를 자문변호사로 위촉하였다고 밝혔다. 신태섭 변호사는 법무법인 CNE 파트너 변호사로 한양대학교 법학과,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고 현재 대한가정의학회 법무이사,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비상임감정위원 등으로 보건의료 전문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신태섭 변호사는 용인시의사회를 통해 접수된 회원들의 법률자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자문회신 업무를 담당하게된다. 이에 신태섭 변호사는 "용인시의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회원분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용인시의사회는 회원수가 늘어나고 최근 의료환경이 엄중해지면서 전문적인 법률 자문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자문변호사를 위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용인시의사회는 한방의 초음파, 뇌파계 사용에 대한 사법부의 이해할 수 없는 판결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문변호사의 자문을 얻어 적극적인 대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인권위에 소아 희귀질환 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치료 환경 개선 촉구 진정서 제출 ▶신경섬유종 앓는 아이들, 약이 있어도 쓰지 못하고 사회적 살인 앞에 인권 사각지대 내몰려 ▶정부의 소아희귀질환 보장성 개선 정책, 환자 가족들에게 실효성 있게 다가가야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회장 김재학/이하 연합회)는 보건복지부 장관에 신경섬유종증 소아 환자들의 인권과 생명권 보호를 위해 유일한 치료제인 코셀루고(성분명 셀루메티닙)의 신속한 보험급여를 촉구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관련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진정서 제출에 함께한 신경섬유종증 환자 가족들은 “지난 8월 초, 벌써 두 번째 급여 평가를 위한 위원회가 열렸다지만 여전히 ‘재심의’라는 심의 결과는 환자 가족들에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이유가 무엇인지도 모른 채 답답하고 미어지는 마음이 들 뿐이다”라면서, “신경섬유종증은 다른 치료제가 없고 생명을 위협하는데다, ‘사회적 사망’이라는 어려움에 처해 있음에도 정부는 그저 경제 논리만 고려하는 것은 아닌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실제로 코셀루고는 수술이 어려운 총상신경섬유종 환자들의 유일한 치료 선택지로, 지난 2021년 5월 식
대한장연구학회, ‘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힐링 투게더’ 개최 - ‘해피바울 캠페인’ 일환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등 4개 지역에서 염증성 장질환 환자 대상 건강강좌 개최 - 10월 14일, 28일로 나눠서 건강강좌 시행, 14일 오후 2시 서울 스페이스쉐어 삼성센터서 첫 행사 열려 - 염증성 장질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전문의 강연과 함께 영양 관리, 심리 케어를 위한 명사 강연, 전문의와의 소그룹 상담 등 다양하고 유용한 프로그램 진행 대한장연구학회(학회장 김태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2013년부터 시행해 온 염증성 장질환 환자 건강 증진 캠페인인 ‘해피바울 캠페인’ 일환으로 염증성 장질환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 – 힐링 투게더’를 개최한다. ‘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 – 힐링 투게더’는 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우 및 가족들과 염증성 장질환 전문 의료진 간의 소통을 통해 올바른 질환 치료,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함께 질환을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발발 이후 4년 만에 다시 오프라인으로 열리는 행사로 그
대한신장학회, 아시아 태평양 급성신손상 지속적 신대체 요법 학술대회 (APAC 2023) 및 통합학술대회 (KSN-IAC 2023) 개최 신장학 분야의 폭넓은 학술 교류의 장 마련 대한신장학회 (이사장 임춘수, 서울의대)는 9월 21일부터 9월 24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국제학술대회인 제 5회 아 시아 평양 급성신손상 지속적 신대체요법 술회 (Asia Pacific Acute Kidney Injury &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gress, APAC 2023)와 통합학술대회 (Integrated Academic Conference, KSN-IAC 2023)를 개최한다. 1980년 창립된 대한신장학회는 약 2천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국내 대표 학회 중 하나이다. 신장질환의 개선을 통 한 국민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신장학 분야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 및 학술활동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지난 2016년부 터 현재까지 여러 국제학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이번에 대구에서 개최되는 APAC은 국제적으로 중요성이 높아진 지속적 신대체요법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
로고 클릭시 전체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로고 클릭시 전체 관련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애브비, 메디컬 에스테틱 의료진 전문 학술 프로그램 AMI 2023 성료 AMI, 차별화된 교육과 의료진 간 지식 교류 확대에 노력,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파트너로 자리매김 - 의료진 2,600여명 참여, 보톡스Ⓡ 및 쥬비덤Ⓡ 시술 최신 지견, 임상 경험 공유 등 이론과 실습을 총 망라한 5개 카테고리의 총 20여 개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의료진 만족도 높여 - 환자에게는 보톡스Ⓡ, 쥬비덤Ⓡ 등 제품 공급과 함께 숙련된 전문가를 통한 시술 환경 제공을 위한 노력 - 한국애브비, 메디컬 에스테틱 의료진과 파트너십 공고히 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 한국애브비(대표 강소영)는 자사의 대표적인 의료진 전문 학술 플랫폼 AMI(Allergan Medical Institute)의 2023년도 교육 프로그램이 지난 2일(토) AMI Best-in-class 핸즈온 코스(AMI Best-in-Class Hands on)를 마지막으로 성료했다고 4일 밝혔다. AMI는 글로벌 에스테틱 리딩 기업인 한국 엘러간 에스테틱스-애브비 컴퍼니가 직접 개발한 의료진 전문 학술 프로그램으로, 의료진에게 지속 가능한 발전형 의료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 울쎄라® 트레이닝 프로그램 ‘아우라’ 성료 ᄋ 지난 5일, 울쎄라 최신 치료 지견 및 에스테틱 트렌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아우라(AURA)’ 진행 ᄋ 울쎄라, 다양한 얼굴 유형에 따른 개인맞춤형 시술 가능, 이제는 남성들도 찾는 리프팅 시술로 자리매김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는 지난 5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자사의 초음파 리프팅 기기인 울쎄라®(접속형초음파자극시스템 의료기기)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아우라(AURA) 세미나’를 성료했다고 밝혔다. 아우라 세미나는 멀츠에서 개최하는 에스테틱 전문가 대상 릴레이 교육 프로그램으로, 울쎄라를 포함해 국내외 피부미용 분야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진들의 시술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아우라’라는 프로그램명은 환자, 전문가, 그리고 시술 결과 등 세가지 요소가 서로의 아우라로 시너지를 내자는 취지로 탄생했으며, 울쎄라가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올림 만큼, 품격이라는 아우라의 의미에 되새기겠다는 포부를 담기도 했다. 이번 아우라 세미나에서는 황금피부과 이규채 원장과 리더스피부과 압구정점 윤성재 원장이 연자로 나섰으며, 울쎄라의 최신 치료 지
Article review Tofacitinib 치료받은 일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악성 종양 데이터 015 ACR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초록 번호: 571 Tofacitinib으로 치료받은 일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악성 종양 데이터 Malignancy Data in Tofacitinib-Treated Japanes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Yoshiya Tanaka, Tsutomu Takeuchi , Hisashi Yamanaka, et al. Meeting: 2015 ACR/ARHP Annual Meeting Date of first publication: September 29, 2015 전찬홍 교수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류마티스내과 논평 본 연구는 최근 2015 ACR에서 초록으로 발표된 자료로 일본 RA 환자에서 tofacitinib과 비생물학적 혹은 생물학적DMARDs의 malignancy risk를 비교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특히 동양인에서 tofacitinib의 malignancy risk가 평가된 데이터라는 부분에서 국내 진료상황에도 참고가 될 수 있는 연구
Article Review류마티스 관절염 임상연구에서 Tofacitinib과 생물학적 치료로 인한 중증 감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ofacitinib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해 개발된 경구용 Janus kinase inhibitor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와 장기 확장 연구들을 통해 tofacitinib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의 결과를 메타회귀 분석하여 기존에 승인된 DMARDs의 중증 감염 사건 발생률과 비교하여 tofacitinib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 결과의 주요 내용들을 소개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임상연구에서 Tofacitinib과 생물학적 치료로 인한 중증 감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Poster presented at the ACR/ARHP Annual Scientific Meeting, Boston, MA, USA, November 14-19, 2014 김상현 교수(계명의대 류마티스내과) 논평 Tofacitinib은 JAK 1,3를 억제하는 최초의 경구용 키나아제 억제제로 국내에는 2014년 2월 첫 허가를 받았으며 2015년 3월 보험급여를 받고 출